728x90
반응형
Server vsftpd 구축
yum -y install vsftpd
vsftpd를 install 한다
cd /var/ftp/
cd pub
cp /boot/vmlinuz-3* file1 // file1 - 배포하는 파일로 가정
pub 폴더안에 file1이라는 파일을 copy한다
systemctl restart vsftpd
systemctl enable vsftpd
firewall-config
vsftpd를 재시작,상시가동 후
firewall-config에서 ftp 방화벽을 해제
anonymous 익명사용자로 접속완료 file1도 있다
(업로드는 아직 안됨)
vi /etc/vsftpd/vsftpd.conf
- 옵션 -
- anonymous_enable: anonymous(익명) 사용자의 접속을 허가할지 설정
- local_enable: 로컬 사용자의 접속 허가 여부를 설정
- write_enable: 로컬 사용자가 저장, 삭제, 디렉터리 생성 등의 명령을 실행하게 할 것인지 설정(anonymous 사용자는 해당 없음)
- anon_upload_enable: anonymous 사용자의 파일 업로드 허가 여부를 설정
- anon_mkdir_write_eanble: anonymous 사용자의 디렉터리 생성 허가 여부를 설정
- dirlist_enable: 접속한 디렉터리의 파일 리스트를 보여줄지 설정
- download_enable: 다운로드의 허가 여부를 설정
- listen_port: FTP 서비스의 포트 번호를 설정(기본: 21번)
anon_upload_enable, anon_mkdir_write_eanble 주석 해제
변경사항 저장하고 restart vsftpd 한다
chown ftp.ftp pub // 권한
ftp = anonymous 사용자에게 pub권한을 넘긴다
그럼 업로드 가능!
Text모드 접속(ServerB)
ncftp 192.168.111.100 // Server IP 주소
cd pub
get file1 // 다운로드
Server proftpd 구축
yum -y install proftpd
proftpd을 install한다
vi /etc/proftpd.conf
- ServerName - 서버의 이름. 아무거나 관계 없음
- DefaultServer - 기본 FTP 서버로 사용할지 설정
- MaxInstances - 최대 생성 프로세스 수. 너무 크면 DDoS 공격 시 취약할 수 있으므로 적당한 값(20~30) 설정
- User/Group - Proftpd가 실행될 때 실행될 사용자. 보안상 root 사용자로 지정하면 위험함
- <Global>~</Global> - 모든 접속된 사용자에게 공통으로 적용되는 설정
- AllowOverwrite - 디렉터리 안에 같은 파일이 있으면 덮어 쓸지를 설정
- <Anonymous ~ftp>~</Anonymous> - anonymous 사용자 접속 여부 설정
- UserAlias anonymous ftp - anonymous 사용자로 접속했을 때 내부적으로 ftp의 권한을 부여함
356, 407번 # 주석처리
<Limit WRITE SITE_CHMOD>
AllowAll
</Limit>
383번행 AllowAll로 변경
systemctl restart proftpd
proftpd 재시작하고 테스트 해본다
Server pure-ftpd 구축
yum -y install pure-ftpd
pure-ftpd를 install한다
vi /etc/pure-ftpd/pure-ftpd.conf
286번행 AnonymousCantUpload를 no로 변경한다
systemctl restart pure-ftpd
pure-ftpd 재시작
cd /var/ftp/
mkdir upload download
chown ftp.ftp upload download // 권한
chmod 333 upload/
upload,download 폴더를 만들고
ftp - anonymous에게 권한부여
반응형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NFS 서버 (0) | 2022.11.15 |
---|---|
[Linux] 클라우드 웹 서버(ownCloud, 컴파일APM) (0) | 2022.11.15 |
[Linux] 잘 안될 때 해결 (0) | 2022.11.09 |
[Linux] DNS 네임 서버 (0) | 2022.11.09 |
[Linux] Yum의 고급기능 (0) | 2022.11.09 |